브리타 가짜 가품 필터에 대한 경험과 구분 방법

목차
1. 박스 및 포장 외관
2. 증거 1 - 필터 외관
3. 증거 2 - 물이 잘 내려오지 않음
4. 증거 3 - TDS 수치가 올라감
5. 마무리 글

그동안 브리타의 한국형 필터만 사 왔었다. 이번에도 한국형 필터(3개 들이)를 구입했는데 막상 도착한 건 독일 생산 유럽형 6개 들이 제품이었다. 교환받을까 싶다가 이참에 유럽형 제품을 사용해 보자고 생각했던 게 결과적으로 가품이었다. 온라인 쇼핑몰의 일반 판매자를 통해 브리타 필터를 구입한 게 화근이었고, 원하는 제품이 아님을 알고도 반품하지 않은 것이 이러한 결과를 낳았다.

가품 구분과 관련해서 우선 언급해 보면,

  • 포장 박스, 글씨 폰트, 필터의 구멍 모양 등으로는 구분하기 어려워 보인다.
  • 포장을 개봉해 필터를 꺼냈는데 외관이 지저분하고 긁힌 흔적이 많다면 가품일 확률이 높다.
  • 필터를 장착하고 물을 담았는데 물이 잘 내려오지 않는다면 의심해 보자. 물론 정품 필터도 종종 비슷한 증상이 있기도 하지만 필터를 꺼내어 다시 침수를 시키고 흔들어 충분히 적셔주면 개선되어야 한다.
  • TDS(용존고형물총량)이 낮아지지 않는다면 정상적인 필터라고 보기 어렵다.

최근에 브리타 정품 필터가 막스트라 프로 퓨어 퍼포먼스로 리뉴얼 되긴 했지만, 필터 내용물 갈이는 얼마든지 가능하기 때문에 필터의 외관, 물 내림, TDS를 체크해 보는 것은 여전히 유효한 가품 판별 방법이라고 보아진다.

무엇보다 일반 판매자가 아닌 브리타 본사가 직접 판매하는 채널을 통해 필터를 구입하자.

박스 및 포장 외관

BRITA의 'R'의 폰트 모양이 특히 다르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구부러지면 두께가 달라지는 등), 내가 구입한 제품은 폰트가 다르지 않았다. 박스와 필터의 비닐 포장면에 제품번호(?)와 생산 날짜가 찍혀 있는데, 둘의 번호는 일치했다. 박스와 포장지 만으로는 특별히 의심할 부분이 없어 보인다.


증거 1 - 필터 외관

물구멍이 둥글지 않고 직각으로 떨어지면 가품이라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나의 경우 해당 포인트로 구분할 수 없었다.

다만, 전체적으로 긁히고 마모된 흔적들이 많이 보인다. 외부로 검은 자국과 가루가 많은 편인데 이 부분은 활성탄을 사용하는 필터 특성상 정품 필터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어디 창고에 굴러다니다가 나온 것 같이 지저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제는 의심 없이 포장지를 뜯어 설치하다 보면 눈치채지 못할 수 있다는 것.

외관의 많은 상처들은 아마도 다 사용한 기존의 정품 필터를 개봉해 내용물을 교체해 판매하면서 생긴 것이 아닌가 싶다.

증거 2 - 물이 잘 내려오지 않음

정품 필터도 처음에 종종 물이 잘 내려오지 않을 때가 있기는 하다. 이 경우 다시 필터를 물이 침수시켜 흔들면서 충분히 적셔주면 해결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이 필터는 물이 내려오지 않는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 3일 동안 확인했는데 흔들고 기울이고 충격을 줘야 물이 내려온다. 그리고 어느 정도 물이 내려오면 다시금 멈춘다.

증거 3 - TDS 수치가 올라감

확신을 가질 수 있는 마지막 증거라 볼 수 있다. 수돗물을 필터링했는데 TDS(용존고형물 총량) 수치가 떨어져야만 함에도 오히려 올라간다. 3일에 걸쳐 계속 확인해 봤는데 약 10 ppm 정도의 수치가 증가한다. 원수가 필터를 거치면서 뭔가 녹아 나왔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인다. 이러한 물은 마시면 안 된다.

마무리 글

박스나 포장 상태만으로는 정품과 가품을 구분하기는 어려워 보였다. 따라서 일반 판매자가 아닌 브리타 공식 채널을 통해 구입하는 것이 안전해 보인다.

가품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 필터 외관이 지저분하고 상처가 많은지 확인하자. 가품 생산 과정이 만약 다 쓴 필터를 구해 내용물 갈이를 한 것이라면 필연적으로 외관에 다양한 상처가 날 수 있다.
  • 물이 잘 내려오지 않는 증세가 여러 조치에도 개선되지 않는다면 의심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필터의 내용물이 바뀌어 물의 흐름이 정상적이지 않는다고 추정해 볼 수도 있다.
  • 수돗물과 수돗물을 필터링 한 물을 비교해서 TDS 수치가 내려가지 않는다면 가품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물론, 필터가 기본 성능을 내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긴 하므로, 하루 정도는 추이를 살펴보자. 참고로 TDS 측정기는 생각보다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동해 약천골 지장수 생수 TDS (수원지: 강원도 동해시 석두골길 151)
  2. ECO 화이트 생수 TDS (수원지: 경남 산청 삼장)
  3. 은박 보냉백 분리수거 가능 여부와 재활용품인 척하는 쓰레기들
  4. 온습도계 HTC-1 매뉴얼
  5. 최근 홍차 쇳가루 사태는 티백 한정인건가 (트와이닝스, 테틀리, 아마드 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