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항공사별 정비사 인력 현황 (LCC 포함)

항공사고는 수없이 다양한 변수가 관여하기 때문에 정비사 수와 항공사고 간의 인과관계를 운운할 수는 없다. 하지만, 정비사 인원이 보유 항공기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면 항공기를 충분히 점검하고 정비하는 데 부하가 많이 걸릴 수밖에 없다는 점만큼은 인정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아래의 내용은 2024년 9월에 발행된 '2023 항공안전 백서'에 실려있는 내용으로 현시점에서 확인할 수 있는 최신 자료일 것으로 추정된다. 아래 표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는 기본적으로 2023년 12월 기준의 자료이다.

플라이강원(현 파라타항공)의 경우 2023년 3월 기준의 자료이며 항공기 보유 대수와 자본금(캡쳐 자료)은 2022년 12월 기준.

항공사별 항공기, 조종사, 정비사 수

구분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제주항공진에어에어부산이스타항공
항공기 보유(대)1598142272210
조종사(명)2,9471,417635453255120
정비사(명)2,9521,29647027019489
정비사/항공기18.616.011.210.08.88.9
구분티웨이항공에어서울에어인천플라이강원*에어로케이에어프레미아
항공기 보유(대)3064055
조종사(명)50098515062100
정비사(명)3452622608243
정비사/항공기11.54.35.5-16.48.6

*플라이강원은 2024년에 위닉스로 인수되어 파라타항공으로 이름 변경.


status of airline transport companies 01
원문 표 (캡처 자료)
status of airline transport companies 02
(계속)

항공안전장애 현황

항공안전장애 발생률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의 경우 최대 승무시간이 연장, 항공기 시스템 부품 결함 등으로 인한 지연・결항・회항 증가를 원인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항공안전기술원, 2024)

국적항공사 항공안전장애 발생 현황

구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건수408264221322497
발생률*7.39.27.49.510.5

* 발생률 = 발생 건 / 1만 운항횟수


또한 항공안전 자율보고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조종과 관련한 사항이 가장 많기는 하지만 정비와 관련한 건수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항공안전기술원, 2024)

*항공안전 자율보고: 항공안전을 저해하거나, 저해할 우려가 있는 사건이나 상태・상황을 자율적으로 보고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게 하는 제도로, 보고 사례의 특성이나 위험도가 모두 다를 수 있어 건수만으로 분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음.

항공안전자율보고 현황 건수

구분조종관제정비객실/조업기타
201994502017163
202080194116120
202189185622140
202210722101020169
202317436631811302
544145843586894

조종과 관련한 보고 현황은 매년 50~60%의 비중으로 일정한 편이나, 정비와 관련한 보고 현황은 1%대에서 조금씩 증가하다가 2023년에 20% 비중을 차지했다.


참고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휴면 계정(회원)이 강제로 활성화되는 중 (feat.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2. 알리 익스프레스 안 쓸 수 없는 이유 (feat. Wiim pro plus)
  3. 영국 로열 메일(Royal Mail) 한국까지 배송기간 (한 달)
  4. 아마존 재팬에서 갑자기 500엔이 결제 되었을 때
  5. 무태장어가 살고 있다는 천지연. 물속에 뭔가 보이긴 한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