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고는 수없이 다양한 변수가 관여하기 때문에 정비사 수와 항공사고 간의 인과관계를 운운할 수는 없다. 하지만, 정비사 인원이 보유 항공기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면 항공기를 충분히 점검하고 정비하는 데 부하가 많이 걸릴 수밖에 없다는 점만큼은 인정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아래의 내용은 2024년 9월에 발행된 '2023 항공안전 백서'에 실려있는 내용으로 현시점에서 확인할 수 있는 최신 자료일 것으로 추정된다. 아래 표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는 기본적으로 2023년 12월 기준의 자료이다.
플라이강원(현 파라타항공)의 경우 2023년 3월 기준의 자료이며 항공기 보유 대수와 자본금(캡쳐 자료)은 2022년 12월 기준.
항공사별 항공기, 조종사, 정비사 수
구분 | 대한항공 | 아시아나항공 | 제주항공 | 진에어 | 에어부산 | 이스타항공 |
---|---|---|---|---|---|---|
항공기 보유(대) | 159 | 81 | 42 | 27 | 22 | 10 |
조종사(명) | 2,947 | 1,417 | 635 | 453 | 255 | 120 |
정비사(명) | 2,952 | 1,296 | 470 | 270 | 194 | 89 |
정비사/항공기 | 18.6 | 16.0 | 11.2 | 10.0 | 8.8 | 8.9 |
구분 | 티웨이항공 | 에어서울 | 에어인천 | 플라이강원* | 에어로케이 | 에어프레미아 |
---|---|---|---|---|---|---|
항공기 보유(대) | 30 | 6 | 4 | 0 | 5 | 5 |
조종사(명) | 500 | 98 | 51 | 50 | 62 | 100 |
정비사(명) | 345 | 26 | 22 | 60 | 82 | 43 |
정비사/항공기 | 11.5 | 4.3 | 5.5 | - | 16.4 | 8.6 |
*플라이강원은 2024년에 위닉스로 인수되어 파라타항공으로 이름 변경.
항공안전장애 현황
항공안전장애 발생률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의 경우 최대 승무시간이 연장, 항공기 시스템 부품 결함 등으로 인한 지연・결항・회항 증가를 원인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항공안전기술원, 2024)
국적항공사 항공안전장애 발생 현황
구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건수 | 408 | 264 | 221 | 322 | 497 |
발생률* | 7.3 | 9.2 | 7.4 | 9.5 | 10.5 |
* 발생률 = 발생 건 / 1만 운항횟수
또한 항공안전 자율보고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조종과 관련한 사항이 가장 많기는 하지만 정비와 관련한 건수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항공안전기술원, 2024)
*항공안전 자율보고: 항공안전을 저해하거나, 저해할 우려가 있는 사건이나 상태・상황을 자율적으로 보고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게 하는 제도로, 보고 사례의 특성이나 위험도가 모두 다를 수 있어 건수만으로 분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음.
항공안전자율보고 현황 건수
구분 | 조종 | 관제 | 정비 | 객실/조업 | 기타 | 계 |
---|---|---|---|---|---|---|
2019 | 94 | 50 | 2 | 0 | 17 | 163 |
2020 | 80 | 19 | 4 | 1 | 16 | 120 |
2021 | 89 | 18 | 5 | 6 | 22 | 140 |
2022 | 107 | 22 | 10 | 10 | 20 | 169 |
2023 | 174 | 36 | 63 | 18 | 11 | 302 |
계 | 544 | 145 | 84 | 35 | 86 | 894 |
조종과 관련한 보고 현황은 매년 50~60%의 비중으로 일정한 편이나, 정비와 관련한 보고 현황은 1%대에서 조금씩 증가하다가 2023년에 20% 비중을 차지했다.
참고문헌
- 항공안전기술원. 2004. 2023 항공안전백서. 국토교통부 항공적책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