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산수 생수 TDS (수원지: 중국 길림성 안도현 이도진 내두천)

baeksansoo

일반 정보 및 디자인

baeksansoo factory
구글 지도로 본 백산수 공장

한국소비자권익연대는 수원지 부분에 있어 현행 표기법상 문제는 없지만, 중국 장백산에서 42km 떨어진 안도현(安图县, 안투현) 내두천인 점, 그리고 중국 장백산으로 표기하는 것이 정확하다는 점 등을 들어 중국 수입 생수를 백두산 물이라는 등의 표현으로 현혹하지 말아야 한다는 비판이 있다. (열린뉴스통신)

물론 수원지인 이도백하진(二道白河鎭)은 국가급 자연보호구에 속하고, 중국에서도 장백산 물이라고 하면 대부분 이도백하 내두천의 물을 가리키며, 현지의 조선족들도 장백산으로 인식하고 있는 지역이라서 거짓말이라고 할 수는 없다고 한다. (나무위키)

다만, 중국에서 생산된 백산수는 중국 다롄항까지 철도로 900 km 이상 이동한 후 선박을 통해 국내 평택항과 부산항으로 들어오는 구조라서 탄소발자국 등 환경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어쨌든 마시더라도 알고 마시면 되겠다.

참고로, 2023년 생수 매출 순위는 제주 삼다수(40.3%), 롯데칠성음료 아이시스(13.1%), 농심 백산수(8.3%)로 백산수가 3위를 차지했다. (머니투데이)

baeksansoo label 01
수원지는 백두산(중국)
baeksansoo label 02
화산 암반수, 무기물질 함량
baeksansoo label 03
백두산 모습
baeksansoo label 04
상세 정보

무기물질 함량 (mg/L) 및 TDS

  • 칼슘(Ca): 3.0 - 5.8
  • 마그네슘(Mg): 2.1 - 5.4
  • 칼륨(K): 1.4 - 5.3
  • 나트륨(Na): 4.0 - 12.0
  • 불소(F): 0 - 1.0

TDS 측정 결과 : 44 ppm

baeksansoo tds
백산수 TDS 44 p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보네이도 633-kr 나사 주문 (써큘레이터 AS)
  2. ECO 화이트 생수 TDS (수원지: 경남 산청 삼장)
  3. 은박 보냉백 분리수거 가능 여부와 재활용품인 척하는 쓰레기들
  4. 산루카스 아보카도오일 구입시 유통기한
  5. 풀무원샘물 by Nature 무라벨 생수 TDS (수원지: 경기 포천 이동면)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