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팬 사용 경험(통3중, 통5중, 바닥3중 및 사이즈 선택)

보유 중인 프라이팬
어느새 많이 늘어난 스테인리스 팬

스테인리스 프라이팬을 처음 살 때에는 바닥 3중이니 통 3중이니 통 5중이니 크기는 몇 cm여야 하는지 등등 많이 고민했었었는데 몇 년 사용해 보니 두께만 두껍다면(개인적으로는 3T 이상 선호) 필요한 사이즈의 마음에 드는 물건을 사면 되는 것 같다(손잡이가 스팟 용접이면 더 좋고). 프라이팬이 다 비슷하게 생겨 보여도 마음에 들고 안 들고는 분명 있다. 물론 바닥 3중이니 통 3~5중이니 동(커퍼코어)이 들어갔는지 혹은 알루미늄이 들어갔는지 등에 따라 열 효율, 열 전달력, 열 용량 등등에서 차이는 다소 나겠지만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할 때 이런 것 때문에 문제가 될 일은 없어 보인다.

참고로 팬이 반짝반짝해 보이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게 보이는 데 기름때 종류는 베이킹소다를 넣고 끓인 후 닦고, 물때는 식초(또는 구연산)를 넣고 닦으면 다시 반짝반짝해진다. 매번 그렇게 닦기는 어려워서 주기적으로 광 내기...

현재 사용 중인 프라이팬 목록(맨 위 사진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

  • 쿡에버 304 통 3중(그레이) 20 cm 스킬렛 프라이팬 (두께 3 mm, 높이 4 cm, 무게 0.8 kg)
  • 쿡에버 304 바닥 3중 24 cm 스킬렛 프라이팬 (바닥 두께 6 mm, 몸체 두께 0.8 mm, 높이 4.5 cm, 무게 1.3 kg)
  • 쿠자 316 통 5중 26 cm 소테팬 (두께 3.5 mm, 높이 6cm, 무게 1.7 kg, 최대 용량 2.8 L)
  • 쿠자 316 통 5중 28 cm 스킬렛 프라이팬 (두께 3.5 mm, 높이 5 cm, 무게 1.7 kg)
  • 쿠자 316 통 5중 28 cm 사각 스퀘어 팬 (두께 3.5 mm, 높이 1.2 cm, 무게 1.4 kg).

지금부터는 위의 팬을 사용하며 느낀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담. 참고로 열원은 인덕션과 가스렌지 모두 사용해 보았다.


1. 통 3~5중, 바닥 3중

일반적인 상황에서 팬의 크기가 24 cm 이상이면 통 3~5중과 바닥 3중 간의 장단점을 구분하기 애매했다(다들 잘 만든 프라이팬). 개인적으로는 사이즈가 겹치지 않게 팬을 구입했어서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아래 정도의 차이는 느껴졌다.

24 cm 미만의 팬, 예를 들어 20 cm 팬을 가스렌지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팬이 작아서 가스불이 팬 옆면까지 올라올 수 있는데 바닥 3중의 경우 옆면이 얇아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런 상황을 염두하면 통 3~5중 팬이 좋은 것 같다. 물론 인덕션이나 하이라이트를 쓴다면 이럴 상황은 없기 때문에 그냥 마음에 드는 걸 쓰면 될 듯. 사실, 가스렌지에서 작은 사이즈의 팬은 애초에 작은 화구에서 조리하거나 불을 작게 틀어 조리하기 때문에 실제 문제가 될 일이 많지는 않아 보인다.

통 3~5 중펜은 팬의 옆면도 바닥이랑 똑같이 두껍다 보니 바닥처럼 굽는 용도로 쓸 수 있다. 생선과 같이 길어서 팬의 옆까지 걸쳐지는 식품에서 좀 더 유리한 것 같다. 그렇다고 캠핑을 하는 게 아닌 이상 집에서는 팬 옆면을 불에 직접 가열할 일은 거의 없지만(인덕션과 하이라이트는 애초에 불가능한...) 열이 전도되어 어느 정도 역할을 해 주는 듯싶다. 물론 생선을 제외하면 프라이팬 옆면까지 가득 차는 구이나 튀김을 할 일은 많지 않았다. 동그랑땡을 많이 굽기 위해 프라이팬 옆면까지 결쳐 굽는 용도로는 괜찮을 듯.

이렇다 보니 개인적으로는 특별한 선호도가 있지는 않았다. 보통 큰 생선은 28 cm 통 5중에서 조리하고 나머지는 구분 없이 조리해야 하는 양에 맞는 크기의 팬을 골라 쓴다.

다만 결정적으로 사이즈가 같은 상황이라면 '통'이 '바닥'에 비해 무겁다. 처음에는 성능이 좋으면 되다라며 간과했었는데 무시하면 큰 코 다칠 수 있는 요소이다. 프라이팬이 무거운데 음식 재료까지 가득 들었다면 팬을 들고 움직이는 것도 힘들며, 손목 스냅으로 재료를 공중에 띄워 섞는 핸들링 역시 쉽지 않다. 자신의 요리 스타일을 따올려 보고 선택하는 것도 좋아 보인다.


2. 사이즈별

2-1. 20 cm
간단하게 계란 후라이나 동그랑땡, 용가리(...) 등 소량의 반찬을 만들어 먹을 때 좋다. 식빵 하나가 딱 들어가기 때문에 토스트 하나 해 먹기에도 좋다(식빵 여러 개는 스퀘어 팬으로). 스테이크용 고기 한 덩어리도 문제없다. 계란 1~2개만 부칠 경우 24 cm 팬도 크기 때문에 20 cm를 써먹는다. 다만 1인분의 볶음밥을 하기엔 크기가 작다. 못할 건 없겠지만 제대로 볶기는 어려울 듯.

2-2. 24 cm
1인분의 볶음밥을 만들거나 1~2인분의 반찬을 조리하는 용도로 좋다. 그야말로 여러모로 활용도가 높다. 다만 온전한 생선을 굽기에는 작은 편이고 토막 난 생선이라면 괜찮다. 가장 처음에 구입했던 사이즈인데 가장 자주 사용하는 팬이기도 하다. 처음 구입하는 데 크기가 고민된다면 후회하지 않을 사이즈.

2-3. 26cm
24cm 다음으로 자주 사용하는 팬. 내가 가지고 있는 건 소테팬이라 높이가 좀 높다. 2~3인분에 해당하는 볶음밥도 거뜬히 만든다. 다만 2~3인분 되는데 수분을 날려가며 보슬보슬하게 볶으려면 소테보다는 28 cm 스킬렛이 좀 더 나은 듯싶다. 소테팬의 특성상 볼륨감이 있어서 2~3인분의 라면, 찌개, 국까지 만든다(최대 용량 2.8 L). 높이가 있어서 뭔가 부슬부슬하면서 부피가 있는 반찬(진미채?)을 조리하기도 편한 듯. 아마 스킬렛 팬이라면 2인분의 볶음밥에 적절할 것 같다.

2-4. 28cm
2~3인분의 볶음밥을 만들 때와 부침 반찬을 만들 때 많이 사용하며 생선구이는 주로 여기서 한다. 온전한 생선은 머리부터 꼬리까지 생각보다 길며 28cm 팬도 모자란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더 큰 팬을 사면 생선 전용 팬이 되어 버려서 사용빈도가 너무 떨어질 게 분명하다. 생선은 여기에 어떻게 해서든 쑤셔 넣고 굽기.


3. 모양(형태) 별

3-1 스킬렛 프라이팬 (일반 둥근 팬)
프라이팬 하면 당연히 둥근 팬이 기본. 특별히 설명은 필요 없을 것 같다.

3-2 소테팬 (전골냄비...)
둥글지만 외곽부의 각도가 가파르고 높이도 높다(스킬렛과 냄비 중간쯤?). 의외로 전천후 사용 가능한 팬이다. 튀김, 구이, 볶음, 전골이나 국까지 못하는 게 없음. 만약 스테인리스 팬을 단 하나만 가질 수 있다면 개인적으로 26 cm 소테팬을 고를 것 같다.

3-3 사각 스퀘어팬 (철판구이...)
사실 이런 모양의 팬이 있는 줄 얼마 전에 알았다. 구입 후 지금까지 계란 지단, 부침, 전, 김밥용 햄, 식빵 토스트 등을 조리할 때 주로 사용했다. 특히 식빵은 4개를 한 번에 구울 수 있다! (감탄...) 식재료가 네모나거나 길쭉하고 단단한 경우 공간 낭비 없이 요리할 수 있다는 점이 꽤 매력적이다. 아무래도 식재료 모양에 따라 팬의 모양도 궁합이 있는 듯. 뭔가 특화된 모양의 팬이다 보니 일반적으로는 없어도 상관없지만 있으면 좋은 옵션 같은 팬.

20 cm 팬 요리
20 cm 스킬렛 프라이팬. 오믈렛용 계란 2개 및 스테이크

동그랑땡과 용가리
순서대로 20 cm, 24 cm, 28 cm 스킬렛 프라이팬

라면과 부대찌개
26 cm 소테팬

마지막으로 28 cm 사각 스퀘어 팬은 이전에 올린 글을 링크(토스트, 계란 지단)하는 것으로 대신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온습도계 HTC-1 매뉴얼
  2. 풀무원 워터루틴 무라벨 생수 TDS (수원지: 경남 밀양 삼랑진)
  3. 수돗물 TDS 측정 시 놓칠 수 있는 부분 '용존'. 물에 녹지 않는 불용성 검은 가루는?
  4. 쿡에버 그레이 통 3중 프라이팬 20cm 후기
  5. 샤오미 TDS 측정기 배터리 교체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