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엔화가 저렴해 져서 주거래 은행인 신한은행에서 어떤 상품을 이용하는 게 좋을지 기웃거리고 있는데, 사실상 전신환 환전 수수료 50% 우대와 현찰 환전 수수료 90% 우대 중에 어떤 게 유리하냐가 관건이었다. 결론을 먼저 말하면 외화 체인지업 예금 패배, 환전 모바일금고 승리.
다만, 다른 금융투자 목적으로도 이용할 건지, 현찰 거래로 사용할건지, 액수가 많은지 등에 따라서는 선택지가 달라질 수도 있다.
- 외화 체인지업 예금 : 전신환. 환전 수수료(스프레드) 50% 우대. 현찰 출금 시 수수료. 금융투자 가능. 엔화는 이자 없음
- 환전 모바일금고 : 현찰(현물). 환전 수수료(스프레드) 90% 우대. 현찰임. 환전 미수령 잔액 $10,000 이내로 보관 가능
기본 환전 수수료
신한은행에서 환율을 조회해 보았다.
- 215회 차 (16:02) : 매매기준율 954.06. 전신환 963.21, 현찰 970.75
- 220회 차 (18:00) : 매매기준율 953.08. 전신환 962.22, 현찰 969.75
이를 바탕으로 계산해 보니 기본 환전 수수료는 대략 다음과 같았다. 현찰로 환전할 때 수수료가 확실히 높다.
- 체인지업 전신환 환전 기본 수수료 = 약 0.96% ≈ (963.21 - 954.06) / 954.06 ≈ (962.22 - 953.08) / 953.08
- 모바일금고 현찰 환전 기본 수수료 = 약 1.75% ≈ (970.75 - 954.06) / 954.06 ≈ (969.75 - 953.08) / 953.08
수수료 우대 적용 시
외화 체인지업 예금(전신환 50%)과 환전 모바일 금고(현찰 90%) 환전 수수료 우대 시, 현찰 수수료 90% 우대가 더 유리했다.
- 체인지업 예금 전신환 환전 수수료 50% 우대 : 0.96% x 50% = 0.48%
- 모바일 금고 현찰 환전 수수료 90% 우대 : 1.75% x 10% = 0.175%
즉, $10,000 이내의 범위 안에서 단순 환테크(및 현찰로 뽑아 여행에 사용)를 한다고 생각하면 외화 체인지업 예금보다는 환전 모바일 금고가 수수료면에서 유리해 보인다.
16시 52분
매매기준율 : 954.06
- 체인지업 전신환 50% 우대 : 958.63 ≈ 954.06 + (954.06 x 0.96% x 50%) = 958.6394...
- 모바일 금고 현찰 90% 우대 : 955.72 ≈ 954.06 + (954.06 x 1.75% x 10%) = 955.7296...
모바일 금고의 환전 수수료가 더 낮기 때문에 엔화를 더 저렴하게 매수할 수 있다.
18시 10분
매매기준율 : 953.08
- 체인지업 전신환 50% 우대 : 957.65 ≈ 953.08 + (953.08 x 0.96% x 50%) = 957.6547...
- 모바일 금고 현찰 90% 우대 : 954.74 ≈ 953.08 + (953.08 x 1.75% x 10%) = 954.7478...
역시나 모바일 금고를 통해 엔화를 더 싸게 살 수 있다.
환율 변동에 따른 단순 환테크(및 여행비용)는 수수료가 저렴한 환전 모바일 금고를 이용하는 것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