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밀여뀌. 제주도 길가에서 조우 (마디풀과)

빗물 하수구
주택가 메밀여뀌

메밀여뀌. Persicaria capitata (Buch.-Ham. ex D.Don) H.Gross / 2022. 3. 제주도 서귀포시.

고사리해장국 먹으러 가는 길가에 낯선 풀이 보이는데 토끼풀처럼 둥근 꽃이 (흰색~)붉은색으로 한창 피어있다. 가까이에서 살펴보니 마디풀과에 속하는 풀인 것 같은데 가지고 있는 도감에서는 찾을 수 없었다.

한반도관속식물목록과 국가생물종목록을 열어놓고 마디풀과의 식물 이름을 읽어 내려갔다. 이 중에서 왠지 어울릴 것 같은 이름을 구글링 해 보며 쓸데없는 열정을 불태워보았는데, 얼마 내려가지 않아 발견한 이름이 메밀여뀌였다.

메밀여뀌 원산지는 히말라야라고 하며, 국내에서는 1997~2001년 제주도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한반도 외래식물, 제주도의 귀화식물상). 이후 20여 년이 지난 현재에도 제주 이곳저곳에서 관찰되는 듯싶다.

(반)상록성이고 식물체는 포복성으로 자라며 전체적으로 털이 나 있다. 잎에는 (검)붉은색 V자 무늬가 있고 양면에 짧은 털이 흩어져 나 있다. 개화는 한겨울 빼고는 연중 이루어지는 것 같다(flower-db). 잎은 아직 겨울 추위가 가시지 않아 그런지 붉게 단풍이 들어있는 듯.

Japanese knotweed
전체 모습

full shot
전체적인 모습

flowers

flowers (white - pink)
꽃 (흰색~붉은색)

stems
줄기

v-pattern
잎 표면 (V자 무늬)

back leaves
잎 뒷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순비기나무 꽃이 피기 시작
  2. 둥근잎나팔꽃은 꽃받침잎을 확인하는 것부터 (메꽃과)
  3. 배치레잠자리(Lyriothemis pachygastra)
  4. 나도밤나무 어린 개체
  5. 소형동물 수로탈출시설 (설악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