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SHOP(공홈)에서 인터넷만(100 Mbps) 가입 고민과 진행

나의 인터넷 단독 가입기

1. 인터넷 가입 필요성

원래 핸드폰에 데이터를 몰아서 쓰고 있다. U+알뜰모바일 유심 데이터 통화 마음껏 Pro 요금제로 5 GB/일 (소진 시 5 Mbps 무제한), 테더링 11 GB, 통화 문자 무제한. 39,740원.

컴퓨터는 테더링(핫스팟)으로 쓰고, 넷플릭스와 TV는 폰을 TV에 미러링 한다. 이렇게 쓰면 한 달에 100 ~ 150 GB를 사용한다. 정말 낸 요금 아깝지 않게 탈탈 털어 먹는 수준. 정말 뿌듯하다. 이렇게 사용한 지 만 8개월째.

불편한 점이 있다면 테더링으로 인터넷이 11 GB밖에 못 쓴다는 점, 집에 와이파이가 없어서 와이파이 연결이 필요한 가전제품 활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개인적으로 컴퓨터 사용량도 한동안 늘어날 것 같아서 집에 인터넷을 놓고 핸드폰 요금제를 낮추기로 했다.


2. 통신비용 조정 목표

현재 핸드폰만 약 4만원. 인터넷 + 핸드폰 요금(무제한 옵션 있는 걸로)을 4만원 전후로 맞춰야겠다.


3. 인터넷 통신사

물망에 둔 통신사는 SK, KT, LG, LG헬로비전, 딜라이브.

  • SK는 넷플릭스 속도가 엉망이라는 평이 자자하다.
  • KT는 해외망이 탄탄해서 넷플릭스를 잘 뽑아주고 전국 어디로 이사 가도 대부분 서비스 가능지역.
  • LG는 넷플릭스 캐시 서버로 가장 원활하다고 한다.
  • LG헬로비전은 이사 갈 때 서비스가 안 될 지역에 걸릴 확률이 많다.
  • 딜라이브는 이 곳이 서비스 불가 지역.

LG와 KT 중에 고민을 좀 하긴 했는데 어디로 이사 가나 왠만해서 업로드 다운로드 대칭 서비스가 가능한 KT를 최종적으로 선택했다. 나중에 걱정 없을 것 같아서.


4. 속도 선택

빠를수록 좋기는 하지만 비용도 같이 늘어난다. 개인적으로는 넷플릭스만 잘 돌아가면 될 것 같은 상황. 넷플릭스 UHD 권장속도는 25 Mbps. 따라서 100 Mbps 인터넷 속도도 차고 넘친다. 물론 100 Mbps 가입했다고 그 속도 그대로 다 나오는 건 아니지만 요즘은 1 Gbps가 보편화되었고 10 Gbps도 나온 상황이라 그런지 100 Mbps 서비스가 한계속도까지 나오도록 품질 자체가 향상된 경우가 많다고 한다(참고). 이번에 알게 된 사실인데 1 Gbps 속도로 가입했다고 하더라도 하루 150 GB 이상 쓰면 100 Mbps로 속도 제한이 걸린다고 한다. 애초에 100 Mbps 인터넷을 가입하면 속도 제한이 걸려도 100 Mbps라 그냥 제한이 없다고 봐도 좋을 것 같다. 마음 편한 100 Mbps.

유의사항
인터넷 속도 제한


나에게 100 Mbps 속도는

컴퓨터로 인터넷은 많이 사용하긴 하지만 요즘엔 PC게임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대용량 파일을 이용할 일도 많지 않다. NAS도 사용하지 않는다. 500 Mbps 나 1 Gbps 급으로 빠르면 좋긴 하겠지만 효용성은 낮다. 좀 큰 파일을 주고받을 때에는 그냥 기다리는 것으로 극복해도 괜찮다고 생각.

UHD 넷플릭스 소모량은 일 150 GB에 어느정도일까

사실 하루에 150 GB를 사용한다는 건 무리이긴 하지만 UHD로 넷플릭스를 보면 어찌 될까.

넷플릭스 인터넷 사용량을 추정해 보면 FHD일 때 시간당 약 4.7 GB, 4K UHD일 때 시간당 약 18.8 GB 정도 되나 보다.

즉, FHD로는 하루 약 32시간(24시간 초과이므로 종일 봐도 150 GB 미만), UHD로 봤을 때에는 8시간 정도 보면 속도 제한에 걸린다. 사실 8시간은 주말에 맘먹고 볼 수 있는 시간이다. 물론 100 Mbps 인터넷 서비스는 속도 제한도 어차피 100 Mbps라 필요 없는 걱정이다.


5. 인터넷 가입은 어디서 해야 이득인가

나는 할인 카드(실적 채우려면 배보다 배꼽이 큼), 가족 할인(KT 쓰는 가족 없음), 결합 할인(TV 안 봄, 핸드폰은 알뜰폰 요금제) 같은 건 없다.

이 상황에서 가입을 하려는데 공홈(KT SHOP)과 대리점(온오프라인)에서 갈등이 되었다.

사실 인터넷만 (게다가 100 Mbps) 가입하는 데 혜택을 많이 주지 않는다. 보통 TV 등과 결합해야 할인과 사은품을 많이 주는 듯. 하지만 검색해 보면 대리점에서는 여러 가지 혜택을 내걸고 있으니 안 끌릴 수가 없다. 똑같은 서비스를 받는 데 나만 사은품을 못 받으면 억울하니 말이다.

아무튼 그래서 인터넷 상으로 확인 가능한 범위에서 어느 정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지 찾아보았다.

온라인에서 광고를 하는 대리점을 몇 군데 들어가 보니 기본 월 22,000원에 9만원 상당의 현금? 상품권?을 내걸고 있다. 물론 실제 가입을 진행하면 저것보다 혜택이 더 올라가는지는 잘 모르겠다. (오프라인은 온라인보다 혜택이 적다고 하니 오프라인 대리점은 일단 제끼기)

KT SHOP에서 가입할 경우 기본 월 22,000원에서 1,100원 할인 그리고 상품권이 지급된다고 나와 있다. 1,100원이 3년이면 39,600원이니 상품권이 50,400 보다 많으면 공홈이 유리하다는 결론이다(1,100원 할인은 기간 한정 이벤트인지 상시 떠 있는 건지 잘 모르겠다).어차피 가입하기로 했으니 가입전화를 했다. 웹상으로 신청도 가능하긴 한데 상품권 사은품이 궁금하기도 했어서 전화로 했다. KT SHOP 홈페이지에서는 대리점처럼 혜택 금액을 명시하지 않고 있어서 여기에 직접 써 두지는 않겠지만 결론적으로 KT SHOP에서 가입하는 게 여러모로 나았다는 것으로 갈음한다. 참고로 유선상의 안내에서는 상품권 종류에 홈플러스도 있었다(홈페이지엔 없네).

KT Shop 홈페이지
KT SHOP


6. 조정된 통신요금

최종적으로 통신요금은 부가세 포함 35,900원으로 맞췄다.

  • 인터넷 : 20,900원 / 월
  • 핸드폰은 U+알뜰모바일 유심 최강가성비(5GB+/200분) 요금제 : 15,000원 / 월
납부내역
가입후 실제 청구된 요금


해당 핸드폰 요금제는 통화 200분, 문자 100건, 데이터 5 GB(소진시 400 Kbps 무제한)이다. 사실 지금까지 써 온 요금제에서 100 ~ 150 GB를 소모했던 대부분은 넷플릭스이다 보니 집 TV로 넷플릭스를 보고 밖에서 볼 건 미리 폰에 다운 받아 놓으면 크게 문제 없을 것 같다. 유튜브는 애초에 잘 안 봄. 400 Kbps 속도는 예전에 써 본 적이 있다. 폰으로 큰 파일을 주고받기에는 어려운 속도이고 카톡이나 SNS는 그럭저럭 쓸만한 정도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사실 월 5 GB도 적은 양은 아니기 때문에 평소에 좀 아껴 써 봐야겠다. 문자는 어차피 거의 안 쓰고 통화 200분은 조금 아쉽긴 한데 혹시 모자랄 것 같으면 보이스톡 등을 활용하면 될 것 같다.

혹시 이렇게 사용했을 때 핸드폰 요금제가 너무 불편하면 동일 통신사에서 데이터 소진 시 3 Mbps 무제한 요금제(2만원대)로 고려를 해 볼 생각인데 일단 이대로 열심히 써 보는 것으로!

* KT 100 Mbps 인터넷 가입후 인터넷 속도 측정 및 넷플릭스 UHD 재생 확인한 결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우리나라 식용유 산가 기준
  2. 브리타 정수기 느려지거나 정수된 물 안 나올 때
  3. 소금 2g 밥숟가락에 올려보기 & 밥숟가락에 소금 올려 깎아 친 무게 재기
  4. LG TV 65SK8000PUA 에어플레이 업데이트 됐다
  5. 세븐일렉 CS20C3 스마트 체중계 후기 (아이폰 기본 건강앱과 정보 연동)

댓글 남기기